선공(N/도훈) 후공(S/지훈) 처음에 게임판이 비어있으면(N>=2) 무조건 지훈이 이김 [1] 게임판 크기가 홀수이면, 어떻게든 SNSNSN? 되게 만들 수 있다. ????????? ????N???? ??SN????? NSN?????? ?NSNS???? [2] 게임판 크기가 짝수이면 S..S 그룹만 안만들면 됨 ?????????? ??????N??? ?????SN??? ??N??SN??? ?SN??SN??? ?SN??SN??N ?SN???SNSN ?SN??NSNSN [일반화?] N..N 그룹 수 = nn N..S 그룹 수 = ns S..N 그룹 수 = sn S..S 그룹 수 = ss N의 턴일 때 nn < ss여야 N이 이김. 턴 이후 상황 : [1] nn+=1 / [2] ns-=1, nn+=1 / [3] nn+=1, sn-=1 ... 즉, 모든 턴이 nn+=1 또는 ss-=1을 유발함. --특이 상황-- 처음 게임판이 정해져있는 경우, N?S 및 S?N이 인위적으로 있음 => N?S, S?N을 한 그룹으로 간주해도 됨 ??N?SN?S?? => ns=1 ??N?SN??SN => nn=1 sn=1 ??N?SNS?NS?? => ns=1 ??N?SNS??NSN => nn=1 ns=1 1. N이 첫 턴 못 놓는 상황 : S(지훈)이 이김 2. N이 첫 턴 놓았을 때 S가 못 놓는 상황 : N(도훈)이 이김 3. N, S가 모두 첫 턴 가능한 상황 : nn, ss 개수에 따라 승자 결정됨 [증명방법] nn < ss 이고 S가 턴을 쓸 공간이 있으면 N은 무조건 턴을 쓸 수 있다. * 처음에 N?S, S?N을 모두 묶었으므로, N?..?S가 있다면 ?가 2개 이상이라 N이 턴 사용 가능 * S..S가 반드시 있는데, S 옆칸에 N을 놓지 못하는 경우는 S가 마지막인 경우밖에 없음 * N을 놓지 못하면 여유 공간이 없다는 의미이므로 S를 놓지도 못함 nn=ss일 때 N이 이기는 특수 케이스 NS... S.NSN???SN.S : N이 이길 수 없음 S.NSN???SN.S : N이 못이김 S.NSN???????SN.S : [기타] N..S 특징 : N을 오른쪽으로 당기는게 불가능 N???S : N 턴수 = S 턴수 S??N : N 턴수 = S 턴수 N??N : N 턴수 = S 턴수 - 1 S??S : N 턴수 = S 턴수 + 1 ????? : N 턴수 = S 턴수 N???? : ?가 1,2,4~이면 N 턴수 = S 턴수, ?가 3이면 N 턴수 = S 턴수 + 1 S???? : NS..N..